밀양 이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양 이씨는 중국 당나라의 운남왕 이모심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이모심은 당나라에서 신라로 건너와 밀양에 정착한 후 귀화하여 밀양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고려 시대에는 이응보, 이유충, 이선정 등이 주요 인물로 활약했으며, 남원 이씨, 청양 이씨 등으로 분파되었다. 이흥원, 이순, 이수홍 등 고려 시대 인물과 이하윤, 이은혜 등 근현대 인물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양 이씨 - 이은혜 (교육인)
이은혜는 대한민국의 교육인이자 사회운동가로, 이화학당 교사, 대한여자국민당 부당수, 기독교 권사로 활동하며 여성의 정치 참여를 옹호하고 이승만을 지지했다.
밀양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성씨 | 밀양 이씨 密陽 異氏 |
나라 | 대한민국 |
관향 | 경상남도 밀양시 |
시조 | 이모심(異牟尋) |
중시조 | 이응보(異膺甫), 이유충(異惟忠), 이선정(異善貞) |
집성촌 | 경상남도 밀양시 충청남도 청양군 청양읍 읍내 전라북도 남원시 향교동 일대 |
인물 | 이채현, 이흥원, 이순, 이수홍, 이하윤, 이은혜 |
년도 | 2000 |
인구 | 1,730명 |
2. 역사
밀양 이씨(密陽 李氏)는 중국 당나라에서 신라로 귀화한 성씨이다. 당나라 덕종 때 운남왕(雲南王)에 책봉되었던 이모심(異牟尋)은 791년 가솔들을 이끌고 신라로 건너와 경상남도 밀양에 정착하였다.[1] 그 후 이모심은 신라에 귀화하여 밀양 이씨의 시조가 되었다.
이모심의 후손들은 고려 시대에 관직에 진출하여 가문을 빛냈다. 이모심의 먼 후손인 이응보(異膺甫)는 고려 현종 때 좌복야(左僕射)를 역임하였고, 그의 아들 이유충(異惟忠)과 이선정(異善貞)은 고려 문종 때 각각 참지정사(參知政事)와 안서도호부사(安西都護府使)를 역임하였다.
2. 1. 시조 및 기원
밀양 이씨(密陽 李氏)의 시조 이모심(異牟尋)은 791년 신라 원성왕 치세에 당나라에서 경상남도 밀양으로 건너와 정착한 인물이다.[1] 이모심은 783년 중국 당(唐)나라 제9대 군주 덕종 치세 시절에 운남왕(雲南王)이라는 작위(봉호)에 책봉되었으나, 791년 음력 춘여월 당나라 시대 시절의 작위를 모두 내던지고 가내 식솔들과 함께 윈난 소재 쿤밍 지역을 떠나 신라로 왔다. 796년 음력 현월에는 신라에 귀화하여 밀양 이씨(密陽 異氏)라는 관향(성씨 본관)을 성립하였다.이모심의 먼 직계 후손인 1세 중시조 이응보(異膺甫)는 1116년부터 1127년까지 고려 현종 치세에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이응보의 적장자인 2세 중시조 이유충(異惟忠)은 1153년부터 1158년까지 고려 문종 치세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고, 서차남인 3세 중시조 이선정(異善貞)은 1154년부터 1162년까지 고려 문종 치세에 안서도호부사(安西都護府使)를 지냈다.
2. 2. 고려 시대
異牟尋|이모심중국어은 791년 음력 유월 신라로 건너와 지금의 경상남도 밀양에 정착하였고, 796년 음력 현월 신라에 귀화하여 '''밀양 이씨'''(密陽 異氏) 관향(성씨)을 성립하였다.[1]시조 이모심의 먼 직계 후손인 1세 중시조 이응보(異膺甫)는 고려 현종 (1116년~1127년) 때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1세 중시조 이응보의 적장자 2세 중시조 이유충(異惟忠)은 고려 문종 (1153년~1158년) 때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고, 이응보의 서차남 3세 중시조 이선정(異善貞)은 고려 문종 (1154년~1162년) 때 안서도호부사(安西都護府使)를 지냈다.
3. 분적 및 분파
남원 이씨(南原 異氏), 동성 이씨(童城 異氏), 훈착 이씨(熏錯 異氏), 동월 이씨(童越 異氏), 청양 이씨(靑陽 異氏) 등이 있다.
4. 주요 인물
고려 공민왕 치세 시절이던 1360년부터 1373년까지 금자광록대부 및 판도판서·판례부사를 지낸 '''이흥원'''(異興遠), 고려 우왕 치세 시절이던 1384년부터 1386년까지 상서좌복야·원외랑을 역임한 '''이순'''(異詢), 고려 공양왕 치세 시절이던 1389년부터 1391년까지 은청광록대부 및 이부시랑·문하시랑·동평장사를 지낸 '''이수홍'''(異垂弘) 등이 있다.
그 이외에도 먼 훗날 대한제국·일제강점기 시대의 작가 및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명예교수 겸 덕성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좌교수 출신의 '''이하윤'''(異河潤)은 시인 겸 영어영문학자 및 수필가 겸 대학 교수 등을 지냈으며, 역시 일제강점기 시대의 기독교 신자(개신교도) 출신의 전직 경성 이화여학교(이화학당)의 교사 출신의 철학자 겸 교육인 출신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객원교수 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객원교수 등을 역임한 대학 교수 '''이은혜'''(異恩惠)는 1937년 10월 8일 결혼하여 윤치영(전직 대한민국 초대 내무부 장관 역임)의 4번째 부인이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